HOME  >  오피니언  >  칼럼  >  기타

[길 위에서] 신석구와 본회퍼



“혹시 신석구 목사라고 아세요? 그분의 삶을 다룬 칸타타가 있는데 ‘주를 위해’라고 들어보셨어요?”

올초 서울 수표교교회 한상욱 지휘자가 전화로 물었다. 신 목사가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마지막으로 서명한 건 알았지만, 칸타타 이야기는 처음이었다. 그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이 작품을 서울에서, 그리고 이탈리아 로마와 독일의 베를린에서 공연할 계획이라고 했다. 작곡가 김성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가 바리톤 솔로와 사가(내레이션), 합창과 체임버 오케스트라 편성으로 만든 작품을 새롭게 편곡해 다시 연주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신 목사 같은 인물을 젊은 세대가 잘 모르고, ‘주를 위해’ 같은 기독교 문화 콘텐츠가 사장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했다.

그의 지휘로 수표교교회연합성가대는 지난 1일 서울 장천홀 공연에 이어 로마와 베를린에서 공연했다. 세 번의 공연을 취재하면서 신 목사의 삶을 깊이 알면 알수록, 그의 삶은 놀랍게 다가왔다. 공연을 본 사람도, 참여한 사람도 갈수록 신 목사의 삶에 흠뻑 빠져드는 듯했다. 한 지휘자를 비롯해 여러 사람이 “작품 중 ‘내가 네게 좋은 집을 주지 아니하고 내가 지던 십자가를 주었다’는 대목이 마음에서 떠나질 않았다”고 했다. 이는 신 목사가 목회를 시작한 지 30년이 지나, 환갑 넘은 나이가 됐는데도 여전히 가난과 싸우는 처지를 괴로워하며 새벽기도를 하다 들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신 목사는 이 음성을 듣고 감격한 나머지 울면서 “내가 어찌 감히 주님이 지시던 십자가를 질 수 있을까”라고 토로했다. 신 목사는 “다른 사람은 십자가를 괴로운 것으로 알지 모르나 나에게는 영광의 십자가”라며 평생 십자가 신앙을 붙들고 살았다. 시골교회를 떠돌며 목회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동안 못난 부모, 못난 남편으로 살았지만 신앙의 양심을 앞세워 일제에 저항했고, 공산당원에게 총살당하는 것으로 삶을 마감했다. 선율을 타고 들려온 그의 고백이 감동으로 다가온 것은 그의 삶과 말이 다르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음악엔 또 국경이 없어서 한국인뿐 아니라 외국인들도 신 목사의 삶과 이를 다룬 음악에 압도당했다. 베를린에서 ‘주를 위해’ 공연을 본 한 독일인 목회자는 신 목사의 삶이 독일 디트리히 본회퍼 목사의 삶과 겹친다며 감동을 감추지 못했다. 그러면서 기자에게 베를린 인근에 있는 ‘본회퍼 하우스’에 가볼 것을 권했다.

이튿날 계획에도 없던 본회퍼 하우스를 찾아 나섰다. 본회퍼 목사는 부모의 집인 그곳에서 매형 한스 폰 도나니 등과 함께 나치에 저항하다 게슈타포에 체포됐다고 한다. 신학자로서 그리스도인의 책임에 대한 생각을 정리한 명저 ‘윤리학’도 이곳에서 집필했다. 처형당하기 전, 옥중에서 써 부모에게 보냈던 서신들도 이 집으로 배달됐을 것이다.

돌아오는 길 본회퍼 목사가 남긴 유고 시에 곡조를 붙인 찬양 ‘선한 능력으로’를 들으며 떠올렸다. ‘나를 따르라’는 예수의 부르심에 응답하기 위해 저마다 자기 십자가를 져야 한다고 했던 본회퍼 목사가 남긴 글과 책들을. 본회퍼 목사는 “십자가를 지는 것이 우리가 성취해야 할 그리스도의 법”이라고 했다. 지금도 시대와 나라를 떠나 여전히 그의 책이 읽히고 기억되는 것은, 말로만 떠든 것이 아니라 몸소 신앙인의 책임을 다해 살아낸 삶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에 돌아와 사순절을 보내며 ‘선한 능력으로’와 칸타타 ‘주를 위해’의 마지막 곡인 ‘주님 거룩하시니’를 거의 매일 찾아 듣고 있다. 이 곡들을 들을 때마다 말과 행동이 다르지 않았던 본회퍼 목사와 신 목사가 반사적으로 떠오른다. 역사의 폭주를 막기 위해 신앙의 힘으로 자기 삶을 던졌던 사람들. 그들은 두려움과 절망 속에서도 오직 예수의 십자가를 붙들고 시대를 거슬러 살았다. 그들이 지금 이 시대를 살고 있다면 어떤 불의에 어떻게 저항하며 살았을까 생각해본다. 나치와 일제가 사라진 자리에 똬리 틀고 있는 그것. 입으로는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말하면서도 뒤로는 더 많은 돈과 권력과 향락을 원하는 우리의 속물적인 욕망과 가장 먼저 싸우지 않았을까. 십자가를 붙든 손으로 절대 잡을 수 없는 것을, 우리는 너무 쉽게 손 뻗어 움켜쥐려 한다.

김나래 종교부 차장 narae@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