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섭게 큰 ‘힙합’… 그 뒤엔 20년 전 선배들의 열정 있었다


 
한국힙합의 도약기였던 1999년 등장해 큰 인기를 끌었던 래퍼 타이거JK. 그는 DJ 샤인과 드렁큰타이거를 결성해 많은 곡을 히트시키며 오랫동안 한국힙합의 인기를 견인했다. 필굿뮤직 제공


팝 음악계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수년 전부터 힙합이 ‘대세’로 군림하고 있다. ‘쇼미더머니’ ‘언프리티 랩스타’ ‘고등래퍼’(이상 엠넷) 등 힙합을 소재로 한 TV 경연 프로그램도 인기다. 이들 프로그램에서 만들어진 노래들은 대부분 발매와 동시에 음원차트 상위권에 오른다. 힙합 페스티벌도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힙합은 누가 뭐라 해도 현재의 가요계를 대표하는 장르가 됐다.

한국에서 힙합이 이처럼 크게 성장할 수 있었던 데에는 현진영, 서태지와 아이들, 듀스의 공이 컸다. 현란한 춤과 감각적인 패션 등 ‘보는 재미’를 갖춘 랩 음악을 들고 나온 이들은 젊은 세대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이들이 인기를 얻으면서 랩과 힙합은 대중에게 낯설지 않은 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이들을 모델로 삼은 후배 가수는 늘었고, 그렇게 힙합은 가요계에서 면적을 넓혀갔다.

이 흐름에서 힙합 번성의 기운이 가장 뜨겁게 일었던 때가 지금으로부터 딱 20년 전인 99년이었다. 99년에는 한국힙합 역사에 기념비적인 음반으로 기록될 앨범이 다수 나왔으며, 주류와 언더그라운드 뮤지션의 대규모 협업도 본격적으로 이뤄졌다.

타이거JK와 DJ 샤인이 결성한 드렁큰 타이거는 99년을 빛낸 대표 인물이었다. 이들은 99년 발표한 데뷔 앨범에서 날렵하고 역동적인 래핑을 들려줬다. 전체적인 구성은 다소 허름했지만 기존 국내 래퍼들에게서는 좀처럼 볼 수 없었던 자유분방한 스타일이었다.

조PD도 빼놓을 수 없다. 98년 PC통신에 올린 ‘브레이크 프리’는 방송가의 심한 규제를 비판하는 내용, 많은 비속어와 욕설로 가득한 랩을 앞세워 누리꾼들 사이에서 화제가 됐다. 이듬해 출시한 데뷔 앨범의 다른 수록곡들도 욕설과 선정적인 표현이 즐비했다. 이 때문에 앨범은 청소년 유해 매체 판정을 받았다. 음반에 ‘18세 미만 청취 불가’ 스티커가 붙은 최초의 사례였다.

20명 넘는 래퍼와 가수가 참여한 힙합 컴필레이션 앨범 ‘1999 대한민국’도 주목할 만했다. PC통신 서비스 천리안이 후원한 이 음반은 김진표 디바 업타운처럼 인지도 높은 주류 가수들과 언더그라운드 래퍼들이 한데 모였다는 점으로 많은 음악팬의 관심을 이끌어냈다. 앨범이 ‘힙합 뮤지션들의 총집합’이라는 상징성을 획득하면서 이후에도 ‘대한민국’이라는 제목을 내건 모음집이 수차례 만들어졌다. 외환위기를 겪은 뒤 나라 분위기가 어두워진 탓에 희망을 주제로 한 노래가 많았다.

당시 노래를 지금 들어보면 몇몇 곡은 무척 촌스럽게 느껴진다. 라임 구성도 단순하다. 이때부터 지금까지 활동하는 래퍼 중 어떤 이는 젊은 힙합 애호가들로부터 퇴물이라는 소리를 들으며 멸시를 당한다. 하지만 이 선배 래퍼들의 활발한 활동과 음악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면 지금처럼 힙합 시장이 커지진 못했을 것이다.

<음악평론가>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