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출판

‘이케아 세대’ 청춘의 일상·감성 대해부

김의경의 소설집 ‘쇼룸’은 이케아의 쇼룸이나 다이소, 고시원 같은 공간을 통해 한국사회 젊은이들이 맞닥뜨린 현실에 대해 들려준다. 사진은 이케아 고양점의 쇼룸.






어떤 소설은 사회학자의 논문 수십 편보다 우리의 현실을 더 날카롭고 깊숙하게 보고한다. 이 소설이 그렇다. 김의경(40·사진)의 첫 소설집 ‘쇼룸(Showroom)’은 2014년 한국에 상륙한 세계 최대 가구업체 이케아(IKEA)를 무대로 전시된 아름다움, 즉 쇼룸을 향한 우리의 욕망과 불안, 좌절을 그리고 있다. 결혼이나 출산을 꿈꾸기 힘든 연인이나 부부의 비의가 사실적이다. “요즘 젊은 것들은 자기 행복하려고 애를 낳지 않는다”고 호통하는 ‘꼰대’들의 손에 이 책을 들려준다면 그런 수준의 말은 쉽게 내뱉지 못할 테다.

‘물건들’에 나오는 커플을 보자. 다이소에서 산 소소한 물건에 만족하며 살던 ‘나’는 집들이를 갔다가 친구네 아이를 본다. “온갖 재롱을 떠는 아이를 지켜보며 머릿속에서 아이를 우리 집으로 옮겨다 놓았다. 여름이면 곰팡이가 올라오는 방에서도 저 아이는 저렇게 웃을까? 생각만 해도 한숨이 나왔다.” 아기를 키우고 싶은 바람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고 ‘나’는 다이소에서 태교 인형 재료를 사 온다. ‘나’를 못마땅하게 보던 남자친구는 이렇게 쏘아붙인다. “솔직히 요즘 돈 없어서 아이 못 낳는 사람이 한둘도 아니고.” 가난한 커플에게는 결혼도, 출산도, 인테리어도 사치로 느껴진다는 게 이들의 낮은 목소리다.

하지만 이케아와 같은 프랜차이즈는 끊임없이 ‘당신도 이 모든 아름다움을 가질 수 있다’고 유혹한다. ‘이케아 소파 바꾸기’에 나오는 대학 동기 3명은 하우스 셰어를 한다. 둘은 커피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취준생’이고 하나는 대기업 계약직 직원이다. 이케아에 소파를 사러 간 날 취준생 둘에게 돌아온 것은 사장의 해고 문자였다. 이들이 이케아를 맴도는 장면은 어쩐지 지겹게 유예되는 청춘에 대한 은유처럼 보이고, 이케아 가구 소비에 탐닉하는 것은 “소비를 통한 평등”이라는 환상을 웅변하는 것 같다. ‘세븐 어 클락’의 남편은 프랜차이즈 일식집에 밀려 가게 문을 닫고, 등장인물 대부분은 거대 자본이 지배하는 시장에서 낙오된 자들이다. 계층 사다리에 오르지 못했거나 떨어진 이들이다. 우리의 절망은 20∼30대 상당수가 여기에 머무르고 있고, 나아질 기미가 잘 보이지 않는다는 데 있다.

그렇다고 ‘쇼룸’의 이야기가 우울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가령 ‘빈집’에 나오는 중년 ‘명희’는 이케아에 잠입해 ‘빈집 점거 운동’ 퍼포먼스를 벌일 계획을 세운다. 아들로부터 결혼 후 살 집을 마련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여자 친구에게 이별을 통보받았다는 얘기를 들은 뒤였다. 명희는 친구에게 말한다. “우리나라 빈집이 100만채가 넘어. 프랑스도 우리나라처럼 빈집이 많대. 외국 부자들이 집을 사 놓고 별장처럼 가끔 사용해서지. 프랑스에는 ‘스쿼트’라는 빈집 점거 운동을 한다네. 그래서 예술가들이 그 빈집을 마음껏 사용해.” 명희는 이케아 쇼룸에 몰래 들어가 쇼룸을 ‘점거’하는 도발적인 상상력을 보여준다.

그러니까 ‘쇼룸’에는 쇼룸을 감히 바라보지 못하는 이들(‘물건들’), 바라보지만 소유할 수 없는 이들(‘이케아 룸’), 소유할 수 없지만 변화를 꿈꾸는 이들(‘빈집’)이 다층적으로 등장한다. 작가는 에필로그에서 “밤낮으로 쇼케이스 위에서 고기를 썰고 있는 남편에게 고마움을 전한다”고 썼다. 이 이야기(‘쇼케이스’)가 작가의 바람과 아픔에 이어져 있다는 발견에 가슴이 저릿해진다. ‘이케아 세대’로 불릴 우리 시대 청춘의 일상과 감성을 적나라하게 기록한 책이다. 현실 돌파에 대한 기대감을 안긴다. 단편 8편 모음이지만 소비와 주거공간이라는 첨예한 주제의식 때문에 연작 느낌이 난다. 긴장감과 재미 속에 책장을 재빨리 넘기게 된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