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건강

[헬스 파일] 다시 찾아온 ‘황사 시즌’ 건강관리법은


 
박민선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미세먼지에 이어 중국발 황사의 공습이 재개됐다. 황사는 중국이나 몽골사막에 있는 모래 먼지가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로 넘어와 대기를 오염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계절풍같이 해마다 이 무렵 나타나는 황사에 우리가 예민해지는 것은 규소, 납, 카드뮴 등 중금속 농도가 증가하면서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열량이 과도하면 몸에 지방으로 축적돼 독이 되는 것처럼 본래 우리 몸에 존재하지 않던 중금속이 몸에 쌓이면 스트레스와 염증을 일으켜 비만보다 더 큰 위해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런 사태를 막으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먼저 적어도 하루 물 8잔 이상을 마셔야 한다. 황사에 가장 취약한 조직은 호흡기다. 수분이 부족하면 호흡기 점막이 건조해져 유해물질 침투가 더 쉽게 이뤄지게 된다. 따뜻한 물이나 음료수로 적어도 하루 1.5ℓ 이상 수분을 섭취해 목을 씻어주는 게 좋다.

둘째, 섬유질이 많은 잡곡밥과 제철 과일, 채소를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황사먼지나 중금속은 장을 통해서도 몸에 쌓이는데 이런 유해물질의 배출을 늘리려면 섬유질이 많은 과일과 채소를 되도록 많이 섭취해 장운동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과일 해조류 채소에 많은 엽산 비타민B·C 등 항산화 영양소는 우리 몸에 들어온 중금속이 일으키는 산화스트레스를 막는 역할을 한다.

셋째, 식사는 규칙적으로 제 시간에 맞춰서 하도록 한다. 장은 음식물이 들어오면 바로 움직이고 영양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아무리 좋은 음식을 먹어도 제때 식사를 하지 않으면 장의 정상적 활동을 기대하기 힘들다.

넷째, 적절한 운동이 필요하다. 공기의 질이 좋지 않은 날이 이어지면 호흡기 건강에 해가 될까봐 운동을 해야 할지 고민하는 이들이 많다. 천식 등 호흡기질환이 있거나 혈관질환 위험이 높은 노인의 경우 더욱 그런 듯하다. 습도와 기온 변화, 유해물질에 대한 혈관 수축 등이 뇌졸중이나 기존 호흡기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황사가 심한 날에는 실외 운동 대신 실내에서 빠르게 걷기, 근력 및 유연성 운동을 하면 된다. 황사가 심하다고 꼼짝도 하지 않으면 나쁜 물질을 없애주는 자정 기능이 떨어져 더 해롭다.

다섯째, 스트레스를 잘 조절해야 한다. 황사가 심한 시기에 감정조절을 못해 스트레스를 받으면 호흡이 빨라져 되레 나쁜 물질 흡수가 늘어나기 쉽다.

박민선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삽화=전진이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