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과 삶] 한복 나들이

한복을 입은 남녀. 게티이미지뱅크


서울 종로 일대에 한복을 입고 나들이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2013년부터 경복궁을 비롯한 4대 궁궐과 조선왕릉, 종묘에 무료입장할 수 있도록 문화재청이 펼쳐온 사업 덕분이 아닌가 싶다. 문화재와 함께하는 한복 또한 좋은 관광자원이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박물관, 관광지, 음식점 등에서 한복을 입는 혜택은 전국으로 퍼지고 있다. 덕분에 한복대여업체와 온라인 판매가 성황을 이룬다고 한다. 한복이 패션 이벤트로 자리하면서 10, 20대들이 촬영한 ‘한복 인증샷’ 또한 유행이다.

한복은 시대에 따라 모양과 색깔이 바뀌어 왔다. 삼국시대 이전부터 허리에 둘렀던 치마는 조선 중기 이후에 저고리가 점점 짧아지면서 지금처럼 가슴에 두르게 되었다. 화려한 궁중 예복이나 관복과는 달리 평민들은 백의민족답게 흰옷을 입었다. 엄밀하게 말하면 염색하지 않은 천 그대로인 ‘소색(素色)’이다. 한복의 색상은 음양오행설에 따라 적색 백색 청색 황색 흑색인 오방색(五方色)을 기준으로 채도가 한 단계 낮은 오간색(五間色)을 사용했다. 오간색은 홍색 벽색 녹색 유황색 자색이다. 주로 저고리와 치마, 저고리와 바지의 배색을 맞추었다. 오방색은 상생과 상극을 추구하는 색채 조화 원리다.

한복의 멋은 역시 맵시와 색깔에서 나온다. 전통 배색의 의미가 사라진 요즘에 유행하는 한복은 여리고 화사한 파스텔 색상이 주류를 이룬다. 시대 흐름과 젊은 소비자 취향을 결합한 색상이다. 특히 한복은 천연염색이 빚어내는 자연색이 경쟁력의 핵심이다. 수박색 대추색 같은 기품 있는 색은 중장년층에 어울리고, 홍색 벽색과 같이 경쾌한 색은 젊은층의 커플룩으로도 더없이 훌륭하다. 전통에 묶이지 않고 새로운 패션으로 거듭나야 생활한복으로 확산이 가능할 것이다. 멋지게 한복을 차려입고 고궁 나들이를 해보고 싶은 가을이다.

성기혁(경복대 교수·시각디자인과)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