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월드

[투데이 포커스] 틸러슨 “소통채널 2~3개 가동”... 북·미 벼랑끝서 대화 탐색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이 지난 30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과 악수하고 있다. 신화뉴시스


미국은 북한과 직접 접촉을 갖고 북측에 대화할 의사가 있는지를 탐문했다고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밝혔다. 미 정부 고위 관계자가 북·미 대화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양국이 접촉했다는 사실을 공개한 것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다.

틸러슨 장관은 지난 30일 베이징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양제츠 국무위원, 왕이 외교부장 등을 만난 뒤 기자들에게 “북한과 대화를 하고 있다”며 “2∼3개 채널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어떤 대화를 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북한에 ‘대화를 하기 원하느냐’고 물었다”고 답했다.

북한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에 대해서는 틸러슨 장관이 미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베이징을 떠난 직후 헤더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이 답변을 대신했다. 노어트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미국은 ‘북한 정권 붕괴나 체제 변화, 통일 가속화, 비무장지대 이북 군사력 동원’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확언했지만 북한은 비핵화를 위한 대화에 관심도 없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도 한·미가 대북 접촉 채널 유지에 대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지만 북한이 대화에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정부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대화를 통한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강조해 왔지만 북한은 진지한 대화에 아무런 관심을 표명해오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런 북한의 반응으로 볼 때 본격적인 북·미 대화가 시작될 가능성은 아직은 낮다. 다만 틸러슨 장관이 북·미 간 접촉 사실을 공개한 것은 미국이 대화의 문을 열어두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북·미 대화를 촉구하는 중국 지도부를 배려한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틸러슨 장관의 발언을 트럼프 행정부가 ‘이란식 핵 합의’를 준비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수년간 비밀 대화를 통해 핵 개발 프로그램을 유예시킨 이란 핵 합의 모델이 북·미 간 대화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시각이다.

이에 대해 틸러슨 장관은 “북한과 이란은 다르다”고 말했다. 완성 직전의 북한 핵무기를 폐기하는 협상이 개발 단계에 불과한 이란 핵 프로그램을 10년간 유예시킨 것보다 훨씬 복잡하고 어렵다는 뜻이다.

공식적인 북·미 대화 채널은 평양 주재 스웨덴대사관과 뉴욕의 북한 유엔대표부 등이 있다. 가장 활발한 접촉 창구는 조셉 윤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다. 윤 대표는 지난 5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북미국장을 만나 ‘대화의 여건’을 논의한 데 이어 6월에는 억류 대학생 오토 웜비어를 석방시키기 위해 평양을 방문한 적이 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강준구 기자 swchun@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