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종합

남북 대화의 문 열기 시동… 정부, 北에 군사·적십자회담 개최 동시제의



정부가 17일 북한에 군사당국회담과 적십자회담 개최를 동시에 제의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 이행을 위한 후속 조치가 본격화된 것으로 북측 반응이 주목된다.

서주석 국방부 차관은 국방부 청사에서 회견을 갖고 “군사분계선(MDL)에서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일체의 적대행위를 중지하기 위한 남북 군사당국회담을 7월 21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개최할 것을 북측에 제의한다”고 밝혔다. 김선향 대한적십자사 회장 직무대행도 서울 중구 적십자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추석 계기 이산가족 상봉 행사 개최 등 인도적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 적십자회담을 8월 1일 판문점 우리 측 평화의집에서 가질 것을 제의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군사회담은 서해지구 군 통신선을 통해, 적십자회담은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통해 각각 회신해 달라고 밝혔다. 남북 간 연락 채널은 지난해 2월 박근혜정부의 개성공단 전면 폐쇄 결정 이후 완전히 단절된 상태다. 정부의 이번 회담 제안은 끊어진 연락 채널을 복구하려는 의미도 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회담 제의 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북한의 호응을 촉구했다. 조 장관은 “이산가족 상봉과 군사분계선상 적대행위 중단은 가장 시급한 문제”라며 “이번 회담 제의는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초기적 단계의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어 “회담 제안과 관련해 북측과 사전 교감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일 베를린 구상을 통해 정전협정 64주년인 오는 27일을 기해 군사분계선에서의 적대행위를 중단하자고 제안했다. 또 10·4정상선언 10주년이자 추석인 10월 4일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열자고 했다.

북한이 회담 제의에 응한다면 2년9개월여 만에 남북 군사당국회담이 이뤄지게 된다. 남북 군 당국 간 회담은 2014년 10월 15일 판문점에서 비공개 접촉을 한 뒤 중단됐다. 이산가족 상봉은 2015년 10월 열린 제20차 행사가 마지막이었다. 당시 상봉 행사는 남북 간 군사충돌 위기 속에서 극적으로 타결된 8·25합의의 후속 조치로 성사됐다.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규모 확대를 북측에 요구해 왔지만 북측은 수용하지 않고 있다.

권지혜 기자,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jhk@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