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포커스] 文대통령 정상외교 두 스타일… ①실용적 좌우합작 ②사안별 맞춤해결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지난 7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문화공연이 열린 독일 함부르크 엘프필하모니 콘서트홀 귀빈석에서 미국, 프랑스 대통령 부부와 함께 관객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부인 브리짓 여사, 마크롱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 문 대통령, 김 여사.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8일(이하 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폐막을 끝으로 정상외교 무대 데뷔전을 마쳤다. 지난달 말 한·미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이번 G20회의에서는 단독 정상회담 9차례, 한·미·일 정상회담, 유엔 유럽연합(EU)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 수장들과 면담 3차례를 진행했다. 북한 핵·미사일 위협이 노골화된 상황에서 탄핵 정국으로 인한 9개월의 외교 공백을 메워야 하는 상황이었다. 상견례 형식도 있었지만 첨예한 갈등 현안이 노출된 ‘불편한’ 자리도 적지 않았다.

대통령 취임 이후 두 달 만에 드러난 ‘문재인표 외교안보 노선’의 가장 큰 특징은 ‘보수·진보 합작 노선’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등과 함께 사상 처음으로 한·미·일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북한의 핵·미사일 불허와 제재 강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앞서 6일 중국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와 북핵 해법을 둘러싼 이견 노출도 불사했다. 외교가에서는 “한·미·일과 북·중·러의 대립 구도가 심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마저 나왔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전통적인 한·미동맹 강화 입장을 유지했다. 다른 한편으로 문 대통령은 지난 6일 대북 5대 원칙과 4대 제안을 담은 ‘베를린 구상’을 발표하며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의 회담을 제안했다. 남북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선언이었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문 대통령의 행보에 대해 “가장 많이 주목받았던 북핵 해법과 관련해서는 한·미동맹 및 한·미·일 협조체제 강화 등 전통적 보수 정부가 해온 기조를 유지했다”며 “그러면서도 베를린 구상을 통해 김대중·노무현식 남북관계 정책 계승을 선언했다”고 평가했다. 외교·안보 부분은 보수의 전통적 압박외교를 유지하고, 남북관계와 한반도 평화정책은 진보의 방식을 이어간다는 구상을 드러냈다는 평가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9일 “이념 대신 국익 중심의 실용 외교노선을 선택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현안 일괄 타결 대신 단계적 접근법을 통해 활로를 모색했다. ‘사업가’ 정상에게는 경제적 보상을 언급했고, 안보 문제에 있어선 정면 돌파를 선택했다. 단기간 해결이 어려운 난제가 많은 경우 이를 우회해 상호 우의를 증진시키자고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처음으로 만났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등 통상 불균형 문제를 강조하자, 문 대통령은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시사했다. 시 중국 주석과는 사드 배치와 북핵 해법 등을 주제로 예정시간(40분)의 2배 가까운 75분간 치열한 토론을 벌였다. 7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개최된 한·일 정상회담에서도 아베 일본 총리와 일본군 위안부 합의 및 소녀상 철거 등으로 이견을 빚었다. 다만 문 대통령은 “이 문제는 이 문제대로 관리하자”고 우회한 뒤 정상 간 셔틀외교 복원, 한·중·일 정상회의 추진 등에 합의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여러 정상들과 생각이 다른 부분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한 게 최대 성과”라고 말했다. 다만 지금까지의 과정이 탐색전에 가까웠던 만큼 향후 북핵·미사일 해결 과정과 중국 일본 러시아 등과의 양자회담에서 문 대통령의 외교·안보 성적표가 나올 것이란 전망도 있다.

함부르크=강준구 기자, 조성은 기자 eyes@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