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션 톡!] 러시아정교회, 전쟁의 무기 아닌 ‘평화의 상징’ 돼야

러시아정교회의 한 사제(오른쪽)가 지난달 28일 러시아 중부의 한 도시의 입영사무소에서 동원령에 따라 징집된 남성에게 축복 기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십자군 전쟁은 11세기 말 시작해 200년 가까이 이어졌습니다. 서유럽의 로마가톨릭을 중심으로 성지 예루살렘을 탈환하려 했으나 결국 이슬람 세력에게 무릎 꿇고 말았죠. 성지를 두고 기독교와 이슬람 세력이 벌인 전쟁인 만큼 종교가 전쟁의 중심에 있었습니다. 십자군은 큰 십자가를 앞세우고 성지로 향했고 기사들은 가슴과 어깨에 십자가 표시를 했습니다. 무슬림이 차지한 성지를 탈환해 기독교 세력을 확장한다는 표면적 이유 외에도 새로운 영토에 대한 봉건 영주와 하급 기사들의 욕망이 전쟁의 중요한 이유였습니다.

아홉 차례나 원정했던 이 전쟁으로 교황권은 힘을 잃었고 신앙은 식었으며 교회의 권위는 땅에 떨어졌습니다. 전쟁 후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유럽 여러 나라에서 인간성 해방을 위한 문화혁신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르네상스 운동이죠. 이 운동은 십자군 전쟁과 16세기 종교개혁을 잇는 가교가 됩니다.

역사 속에서 종교가 전쟁의 무기가 된 사례는 또 있습니다. 아돌프 히틀러의 독일에서 루터교회는 나치에 부역했습니다. 교회는 히틀러를 구세주로 고백하며 그를 추종했습니다. 루드비히 뮐러 목사와 같은 사람은 ‘아리아인의 기독교’를 확산해 나치의 광기에 힘을 실었습니다. 복음은 독일인에게만 유효하다는 주장과 함께 ‘하나의 하나님, 하나의 국가, 하나의 교회’를 위해 나치가 계속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일제강점기 중 한국교회도 부끄러운 흔적을 남겼습니다. 1938년 장로교를 끝으로 국내 모든 교단이 신사참배를 하며 일제의 손을 들어줬죠. 신사참배 이후 교회는 일제의 침략 전쟁을 적극 도왔습니다. 감리교와 장로교 등은 전투기도 헌납했죠. 교회의 신사참배 결의는 1910년부터 긴 세월 지조를 지키며 민족의 독립을 이끌었던 교회의 헌신을 무위로 돌려버렸습니다.

역사는 반복됩니다. 러시아의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전쟁에서 러시아가 고전을 면치 못하는 가운데 최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예비군 30만명 동원령을 내렸습니다. 지도자의 광기에 문제를 제기해야 할 러시아정교회의 수장 키릴 총대주교는 연일 전쟁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그는 “병역 의무를 수행하다 죽는 건 타인을 위한 희생으로 이를 통해 자신의 모든 죄는 씻긴다”는 내용의 설교를 하며 동원령을 정당화했습니다.

부끄러운 역사 속에서도 빛났던 이들의 희생이 있었습니다. 신사참배에 반대하다 순교한 주기철 목사나 고백교회를 설립해 나치에 저항했던 디트리히 본회퍼 목사가 대표적입니다. 1억명이 넘는 신자를 가진 러시아정교회가 전쟁 후에도 정당성을 유지하려면 불의에 맞서는 선각자가 필요합니다. 종교가 전쟁의 무기가 될 것이 아니라 평화의 상징이 돼야 합니다. 정당한 전쟁이란 인류 역사 속에 존재한 일이 없습니다.

장창일 기자 jangci@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