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며 사랑하며-신용목] 하얀색이 하는 일



조금씩 차이는 있겠지만 우리가 하는 거의 모든 일들은 사전에 일정한 양의 공부를 필요로 한다. 어떤 공부는 그 일의 전사와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고 어떤 공부는 행위와 인식을 알맞게 숙련하는 것이다. 대개는 비중을 달리하며 이 두 가지를 함께해야 하는데, 시도 마찬가지여서 공부가 필요하다.

몸과 마음을 다 쓰는 이 공부는 끝이 없어서 아무리 오래 시를 쓴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공부를 멈추면 저도 모르는 사이에 ‘상투성’ 속으로 떨어지고 만다. 삶 저편에는 늘 알 수 없는 것들이 남아 있어서, 시인은 언제나 모르는 채로 그 미지에 대해 말하는 중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더 난감한 것은, 시를 공부하는 일은 그 끝만 안 보이는 게 아니라 지금쯤 얼마만큼의 과정을 지나가고 있는지 그 시간과 깊이의 정도조차 알 수 없다는 점이다. 이 효율과 기능의 시대에 시는 전혀 경제적이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어떤 이가 보기에 시를 읽거나 쓰는 일은 쓸데없어 보이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같다.

며칠 전 함께 시를 공부하는 분이 저런 고충을 털어놓으셨다. 돈이 되지도 표가 나지도 않는 일을 하면서 주변의 이해를 구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성추문처럼 문학을 둘러싼 심심찮은 스캔들은 그런 고충을 더 견디기 힘든 것으로 만들었을 것이다. 우리가 아는 시에 대한 거창한 수사들이 다 무용해지는 순간을 모면하기 위해, 나는 깊지 않은 경험과 당위적인 몇 마디를 보탰으나 사실 아무 대꾸도 못한 거나 진배없었다. 줄곧 생각했으나 여전히 마땅한 말을 찾지는 못했다. 시는 삶 너머의 알 수 없는 것을 말하기 위하여 이제 말할 수 없는 장르가 되어버렸는지도 모르겠다.

지난 주말엔 눈이 내렸다. 눈이 녹으면 하얀색은 어디로 갈까, 어떤 시인은 이렇게 썼지만 정작 누구도 저 하얀색이 하는 일에 대해서는 묻지 않는다. 잠시 세상을 덮어버렸다 거짓말처럼 사라지는 하얀색의 일에서 경제성을 찾기는 힘들다. 하지만 눈에서 하얀색을 뺀다면 어떨까. 적어도 시가 없다면, 삶은 뻔해질 것이다.

신용목(시인)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