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인터뷰  >  일반

[인터뷰] 작가 정철훈, 내 가족사 안에 흐르는 ‘시의 피’를 탐사하는 여행

정철훈 시인은 지난 3년 동안 끊이지 않는 부고 속에서 '시간여행'을 했고 그 안에서 마주한 것들을 '만주만리' 시집에 담았다. 최현규 기자




우리는 누군가의 인생을 반복해서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어떤 여행은 이런 삶의 내력을 이야기해주기도 한다. 시인이자 소설가인 정철훈(58)이 지난해 여름 만주(滿洲)로 갔던 것은 그런 의미였던 모양이다. 이 여정의 의미를 풀어쓴 시집 ‘만주만리’(실천문학사·표지)를 낸 그를 지난 3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에서 만났다. ‘빛나는 단도’ 이후 3년만의 신작이다.

“2014년부터 올해까지 부고가 생활이 되어버린 느낌이었다. 생몰 연대의 괄호 안에 몰의 연도를 기입하는 게 일과처럼 돼버린 시간이었다.” 이 말을 하는 그의 얼굴에는 얼마간의 허탈함이 묻어났다. 세월호 참사 목격 직후 30년 가까이 재직했던 회사를 퇴직했고 그로부터 8개월 뒤 부친 정근(1930∼2015·동요작곡가)이 세상을 떠났다.

장례 후 선친보다 2년 먼저 별세한 둘째 큰아버지 정추(1923∼2013·북한 출신 망명 작곡가)의 유품을 정리하기 위해 카자흐스탄 알마티로 갔다. 지난해 7월엔 정추의 유품에서 발견한 첫째 큰아버지 정준채(1917∼1980·북한 영화감독)의 편지를 단서로 큰어머니 임옥순이 6·25전쟁 때 피난했던 만주 헤이타이로 날아갔다.

정철훈은 한 할머니를 만나 큰어머니가 살던 집터에 기적처럼 도착했다고 한다. 집터에는 푸른 옥수수가 자라고 있었다. ‘몸 전체가 푸른색을 띠고 있는 옥수수/ 나는 옥수수가 그토록 푸른 심연을 가진 식물인지/ 처음 알았다// 이엉집 방 한 칸에 세 들어 살던 모자는/ …/ 남녘 가족을 떠올리려 눈시울을 붉혔을 것이다.’(‘1952년 여름의 옥수수 밭’ 중)

그 집터에서 쓴 시다. 부고는 계속됐다. 올해 3월엔 알마티에서 둘째 큰어머니의 부고가 전해졌다. ‘친구 부인의 부고까지 왔으니 내 차례의 이별도 멀리 있지 않다’(‘이별의 마일리지’ 중)고 한다. 그는 이제야 비로소 인생의 가을 ‘초로’의 문턱을 수긍하는 것 같았다. 3년간 부고를 쫓아 시간여행을 한 덕분일까.

“그럴지도 모른다. 내 첫 기억은 어린 시절 얼룩무늬 사냥개가 얼굴을 핥던 것이다. 여행을 하면서 첫 기억이라고 할 어떤 혀가 그때 시의 피를 묻혀 나를 핥았던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시조시인인 조부 정순극으로부터 시를 노래로 만들던 아버지와 그 형제로 이어지는 그의 가족들. 그 여행은 가족사 안에 흐르는 ‘시의 피’를 탐사하는 시간이었다.

정철훈은 “우리 가족의 역사도 크게 보면 우리 민족의 역사고 노래로 만들어지고 흘러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흘러가라 노래여, 흘러가라 시여!”(‘시인의 말’ 중)

글=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사진=최현규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