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인터뷰  >  일반

송민호 충남대병원장 “세종충남대병원은 분원이상 역할… 의료인프라 갖춰야”

송민호 병원장은 세종시에 건립 중인 세종충남대병원은 “분원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충남대학교병원이 세종특별자치시(이하 세종시)에 건립 중인 ‘세종충남대병원(이하 세종병원)’은 세종시 도담동 1-4구역 종합의료시설 부지 3만5261.3㎡에 지하 4층, 지상 13층, 500병상 규모다. 16개 중앙행정기관과 14개 국책연구기관이 들어선 행정수도에 건립되는 첫 종합병원이다. 추후 800병상까지 확장할 계획이며, 총사업비만 2700억원이 투입된다. 대단위 공사인 만큼 충남대병원이 세종병원에 거는 기대도 남다르다.

기대만큼 우려도 감지된다. ‘연구중심 병원’이란 목표 설정과는 별개로 추진 동력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달 21일 충남대병원에서 송민호 병원장을 만났다. 그는 “세종병원은 분원 이상의 의미”라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그러나 지방 국립대병원의 공공의료 역할론에 대해서는 “정부 지원이 이뤄져야 가능하다”는 다소 유보적인 반응을 보였다.

Q. 의료·보건 관점에서 세종시의 현안은 무엇인가.

-세종시는 응급의료 센터와 심혈관센터의 부재로 ‘응급의료 공동화현상’이 생겼었다. 365일 24시간 응급의료체계를 갖추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세종의원이 그 역할을 맡아 일정부분 해소됐지만 한계가 있다. 지역의원과 세종시 의료정책부서와의 소통과 역할분담 등이 필요하다. 의료 인프라와 다양한 공공의료 시스템이 세종병원에 갖춰져야 한다.

Q. 서울과 지역의 의료 양극화현상을 고려하면, 녹록한 상황은 아니다.

-전국의 국립대병원들마다 분원을 건립 중이다. 세종병원은 좀 다르다. 의료인구가 존재한 상황에서, 도시 생성과 동시에 건립되고 있다. 세종시의 인구는 비교적 젊다. 따라서 의료기관 이용률이 높지 않다. 의료수익의 관점에서 우려의 부분도 있다. 그러나 의료 인프라 확충은 수익으로 재단할 수 없다.

Q. 국립대병원은 지역 거점 의료기관으로써의 의미를 갖는다.

-국립대병원의 역할은 알고 있다. 세종병원은 의료와 연구가 핵심이다. 세종병원이 곧 연구 현장이라야 한다. 의료혁신에 도움이 돼야 하기 때문이다. 국립대병원이 소임을 다할 수 있도록 보건당국의 관심이 필요하다.

Q. 세종병원의 11개 특성화센터가 눈에 띈다.

-세종시는 소아·청소년 및 20∼40세 여성인구가 많다. 소아·여성전용 병동, 부인 배뇨장애·유방암·부인종양·불임클리닉과 산부인과 등의 여성 진료운영계획을 갖고 있다. 소아청소년 관련 내분비, 성장·인지신경, 두통·집중력·학습력, 알레르기·아토피 클리닉 등의 전문적인 소아청소년 진료운영계획을 세워둔 상태다. 세종병원의 목표는 진료·진단-치료계획수립을 단일 공간에서 당일 시행한다는 것이다.

Q. 연구와 관련해 어떤 계획을 갖고 있나.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와 대덕연구개발특구와의 지리적 이점을 살릴 것이다. 바이오·의료클러스터의 거점병원 역할을 통해 연구중심 병원이 되자는 게 우리의 목표다. 충남대학교-카이스트-충남대병원의 연계는 중개·임상연구에 큰 힘이 될 것으로 본다.

Q. 세종병원이 의료·바이오 클러스터 거점 연구병원 구축을 위한 계획은 무엇인가.

-일례로 한국기계연구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박용호 이비인후과 교수 연구팀은 귓바퀴 연골세포를 배양하고, 기계연의 이준희 책임연구원은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인공 귀를 제작한다. 그러면 충남대병원은 이를 동물에 이식해 생체 적합성을 확인한다. 이 같은 방식으로 협업을 계획하고 있다. 첨단 헬스케어 기기도 개발 예정이다. 박재형 심장내과 교수 연구팀과 정혜선 신경과 교수 연구팀을 중심으로, 기계연의 광응용기계연구실 및 나노자연모사연구실과 함께 유연 패치형 심장 모니터링기기 개발에 협력키로 했다.

Q. 공공의료에 대한 소신과 철학은 무엇인가.

-공공의료는 국립대병원 정관에 명시되어 있는 주요사업 영역이다. 새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서도 그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그러나 공공의료사업을 확대해 나가려면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Q. 의료수익과 견줘 공공의료사업 시행의 한계는 무엇이라고 보는가.

-결국 공공성과 수익성의 균형 문제다. 적자를 감수하면서 공공의료사업을 시행할 수 있는 병원은 많지 않다. 일정 수익이 있어야 자발적인 공공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의 수가 구조에서는 의료수익만으론 흑자를 내기 어렵다. 결국 공공의료사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Q. 결국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얘긴데, 예산 증액은 당장 이뤄지기 어렵지 않나.

-사실 국립대병원의 공적기여에 대한 비용 계산은 끝나있다. 공공기여에 대한 국립대병원의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다. 의료 양극화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이뤄진다. 수도권과 지역, 지역 안에서의 격차가 그것이다. 각 지역의 문제점은 제각각이다. 정부의 지원 방식은 다양하게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