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트럼프·시진핑·푸틴 北核 3각 공조



미국과 러시아, 중국 등 한반도 주변 강대국들의 북한 압박 공조가 본격화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전화통화에서 북한 핵·미사일 문제 해법을 논의하고, 외교적 해결 노력에 합의했다. 미국과 중국은 유엔에서 강도 높은 새 대북제재 결의안을 만들기로 하고 초안 협의를 시작했다.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러시아까지 적극 호응하고 있는 이런 ‘국제공조’는 근래 보기 드문 일이다.

백악관은 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은 북한의 위험한 상황을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최선인지를 놓고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크렘린궁도 “북한 문제의 외교적 해결을 위한 공동 노력을 벌이기로 두 정상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 북한 문제 해법을 본격 논의한 것은 처음이다. 두 사람은 또 주요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오는 7월 독일 주요 20개국(G20) 회의 때 첫 정상회담을 갖기로 했다. 백악관은 “둘의 대화가 매우 좋았다”고 설명했으며, 크렘린궁은 “효율적이고 건설적인 대화였다”고 평가했다.

트럼프와 푸틴의 우호적인 대화는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 시절과는 크게 달라진 미·러 관계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오바마와 푸틴은 시리아 문제 등을 놓고 사사건건 충돌했으며, 그 여파로 북한 문제에서 미·러 간 공조방안이 논의된 적이 없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지난달 정상회담 이후 부쩍 대북 공조를 강화해 온 미·중은 유엔에서 강도 높은 새 대북제재 결의안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에 착수했다. 중국이 새 대북제재에 얼마나 ‘열린 자세’를 보일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으나, 중국의 관영 매체가 대북 석유수출 제한 카드를 거론한 적이 있어 이전보다 수위가 높은 제재안에 합의할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 대통령이 군사행동에서 대화까지 모든 옵션을 과시하고 있지만 대북정책 기조는 ‘제재와 압박’이다. 이는 외견상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유사하다. 그러나 북한에 대한 압박 강도와 폭넓은 국제공조는 오바마 전 대통령 시절보다 훨씬 강해졌다.

특히 미국은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남중국해의 순찰을 최근 중단했다. 북한을 압박하고 있는 중국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앤드루 오로스 워싱턴대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한판 붙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