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월드

시진핑 ‘영수’ 칭호 얻을 듯… 2027년 대만 무력통일 시도 예상

지난 12일 중국 베이징 공산당 박물관에 설치된 대형 화면에 시진핑 국가주석이 연설하는 모습이 상영되고 있다. AP뉴시스


오는 16일 개막하는 중국 공산당 20차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은 3연임을 확정하며 ‘영수’ 칭호를 얻게 될 것으로 보인다. 영수는 중공 100년 역사상 마오쩌둥에게만 부여됐던 호칭이다. 시진핑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해 건국의 아버지로 추앙받는 마오쩌둥 반열에 오른다는 의미다.

이번 당 대회에선 당장(黨章)에 명기된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이 ‘시진핑 사상’으로 축약돼 지도적 지위를 확립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생전에 자신의 이름이 붙은 사상이 당의 헌법 격인 당장에 명시된 지도자 역시 마오쩌둥밖에 없었다. 영수 호칭과 시진핑 사상의 지도적 지위 확립이 모두 이뤄지면 시 주석은 3연임을 넘어 종신집권이 가능해진다.

마오의 전유물이었던 영수 칭호가 시 주석에게 부여된 건 지난 4월 광시좡족자치구 당 위원회 전체회의에서다. 시 주석을 향한 헌사가 이어지던 중 “영원히 영수를 추대하고 호위한다”는 발언이 나왔다.

중국 관영 CCTV가 지난 8일부터 방영하고 있는 16부작 다큐멘터리 ‘링항’(領航·항로를 인도한다는 뜻)에서도 지방 시찰 중 주민들에게 둘러싸여 환영받는 시 주석의 모습 위로 ‘인민은 인민영수를 사랑한다’는 자막과 내레이션이 등장했다. 링항은 시 주석 집권 10년의 성과를 부각하는 내용이다.

홍콩 명보는 지난 7월 현재 ‘당의 핵심’으로 불리는 시 주석이 이번 당 대회를 통해 ‘인민 영수’ 호칭을 얻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때문에 시 주석이 공식 직위에서 물러난 뒤로도 한동안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시 주석의 종신집권 가능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움직임은 당장에 시진핑 사상의 지도적 지위를 확립하는 내용이 들어갈 것이라는 점이다.

13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당 대회 준비를 최종 점검하기 위해 지난 9~12일 개최된 중국 공산당 19기 중앙위원회 7차 전체회의(19기 7중 전회)에서도 시 주석의 당 핵심 지위 확립 및 수호가 부각됐다.

중앙위는 회의 결과를 담은 공보문을 통해 “공산당은 ‘두 개의 확립’의 결정적 의미를 깊이 깨닫고 ‘두 개의 수호’도 이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개의 확립은 시 주석의 당 중앙 핵심 및 시진핑 사상의 지도직 지위를 확립하는 것을 말한다. 두 개의 수호는 시 주석의 당 중앙 핵심 지위와 당 중앙의 집중통일영도를 결연히 수호한다는 뜻이다. 시 주석의 측근이자 정치국 상무위원인 왕후닝 당 중앙서기처 서기는 당 대회 때 심의할 당장 개정안 초안을 설명했다. 초안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두 개의 확립과 두 개의 수호가 새롭게 명시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 지도자가 살아있는 동안 자신의 이름이 들어간 사상을 당장에 넣은 건 1945년 마오쩌둥이 유일하다. 중국의 개혁개방을 이끈 덩샤오핑도 사후에야 ‘덩샤오핑 이론’이 당장에 삽입됐다. 베이징 소식통은 “2012년 집권한 시 주석이 2017년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을 당장에 넣고 이듬해 헌법의 국가주석 임기 제한 조항을 삭제한 것만 보더라도 이미 절대 권력을 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당 대회 이후 중국의 대내외 정책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첫 무대는 미·중 정상회담이 될 전망이다.

다음 달 15~16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 주석이 첫 대면 회담을 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마오쩌둥에 버금가는 지도자가 된 시 주석이 미·중 관계와 대만 문제에 있어 한층 공세적으로 나올 것이란 관측이 많다.

시 주석의 4연임이 결정되는 2027년 중국이 대만 무력 통일을 시도할 것이란 전망도 꾸준히 나온다.

지난 9~12일 개최된 7중 전회 공보문에는 지난 5년간의 대외 정책에 대해 “국익을 중시하고 국내 정치를 우선시했다”고 평가한 대목이 나온다. 국제사회에서 힘을 과시하는 중국식 ‘늑대 외교’가 등장하게 된 배경에 국내 정치적 필요가 있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러한 기조는 시진핑 집권 3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국 내부적으로는 경기 침체와 빈부격차 등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봉쇄 탓에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정부 목표치인 5.5%에 한참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 정상이 더디면 시 주석이 내세우는 분배에 중점을 둔 공동 부유를 실현하기 쉽지 않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