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건강

[And 건강] 말기 신부전 환자 대안 떠오른 ‘복막 투석’… “일상 지장없네”

중앙대병원 인공신장센터 황진호 교수(오른쪽)가 복막투석 환자 재택관리 시범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말기 신부전 환자들은 주 3회 혈액 투석하러 병원에 오는 대신 집에서 스스로 복막 투석을 하고 한 달에 한 번 정도 의사 진료와 상담을 받으면 된다.



 
직접 주입 뒤 6 ~ 8시간 후 교체
신장 이식 대기 중 치료에 적합
의료진이 교육·모니터링 지원
3년째 시범사업… 유지 여부 주목

31세 여성 김모씨는 최근 신장(콩팥) 기능이 10~15% 아래로 떨어지는 말기 신부전 진단을 받았다. 고령층이나 당뇨·고혈압 등 만성질환자들에게 찾아오는 병 쯤으로 여기고 방심했던 게 화근이었다. 콩팥 내 혈관다발인 사구체에 생긴 염증이 콩팥을 망가뜨린 직접 원인이었다. 말기 신부전 환자들은 생명 유지를 위해 콩팥을 대체해 혈액 속 노폐물과 과도한 수분을 빼내는 투석 치료를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고 궁극적으로는 신장 이식을 받는 게 최선이다.

김씨도 뇌사자 장기이식 대기자로 등록했으나 기다리는 환자들이 많아 언제 순번이 돌아올지 알 수 없다. 그때까진 투석으로 버텨야 하는 처지다. 혈액 투석의 경우 매주 3차례 병원을 방문해 꼬박 4시간씩 팔에 혈관장치를 달고 누워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 스트레스가 이만저만 아니었다. 직장을 계속 다닐 수 있을지도 걱정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김씨는 주치의로부터 집이나 직장에서 스스로 할 수 있는 ‘복막 투석’을 권고받았고 직장생활에 지장없이 투석 치료를 이어가는 중이다.

복막 투석은 위·간·대장 등 배 안의 장기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인 복막을 필터(투석막)로 사용해 몸 속 노폐물을 제거하는 치료다. 복강 안에 반영구적으로 삽입한 가느다란 도관으로 투석액을 자신이 직접 주입하고 6~8시간 후 새 투석액으로 계속 교체하는 방식이다. 병원은 투석 결과 상담 및 진료를 위해 한 달에 한 번 정도만 방문하면 된다. 장소와 시간에 제약없이 투석 치료를 받을 수 있어 사회경제활동이 필요한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대안이 될 수 있다. 젊은 직장인이나 자기 관리를 잘 할 수 있는 사람이 복막 투석의 우선 고려 대상이다. 중앙대병원 인공신장센터 황진호 신장내과 교수는 29일 “복막 투석은 집에서 혼자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손이 떨려 투석 조작을 잘 못하거나 자기 관리가 잘 안 되는 고령층이나 거동불편자에겐 부적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코로나19 같은 감염병 유행 상황에선 복막 투석이 유리할 수 있다. 혈액 투석을 위해 꼬박꼬박 병원에 가야 하는 만성 신부전 환자들은 고충이 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실제 코로나 확산으로 위중증 환자가 급증했을 땐 투석 병상이 부족해 제때 투석받지 못하는 환자들이 속출하기도 했다. 코로나 유행이 길어지면서 복막 투석이 대안으로 떠오르는 이유다.

최근엔 밤에 잠자는 동안(8~10시간) 자동으로 투석액을 교환해주는 자동 복막투석기도 나왔다. 낮 시간을 보다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어 학업이나 직장 등 사회활동이 활발한 환자에게 적합하다. 특히 디지털 관리 플랫폼이 장착된 자동 복막투석기를 이용할 경우 환자의 투석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돼 의료진에게 전송된다. 환자가 병원을 찾지 않고도 의료진이 환자 상태와 치료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평생 지속할 수 있는 혈액 투석과 달리 복막 투석은 복막 자체에 발생하는 합병증 예방을 위해 10년 이내로 시행할 것이 권고된다. 이 때문에 주로 장기 이식 대기자 명단에 올라 차후 신장을 이식받을 예정인 환자들이 많이 고려하는 편이다. 황 교수는 “복막 투석은 오래할수록 투석으로 인해 복막의 제기능(장기 보호 등)을 잃어버려 장 운동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래서 신장 이식 대기 중 ‘브리지(bridge) 치료’ 개념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복막 투석은 혈액 투석에 비해 남아있는 콩팥 기능이 더 오래 보존되고 노폐물과 수분이 서서히 교환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심혈관계에 미치는 부담이 덜하다.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인지도가 낮다 보니 말기 신부전 환자의 복막 투석 비율은 낮다. 대한신장학회에 따르면 2020년 말기 신부전 마지막 단계(5단계)를 진단받은 환자(1만8379명) 중 혈액 투석 비율이 82.1%였고 신장 이식(12.4%), 복막 투석(5.5%) 순이었다.

복막 투석은 투석이 잘 안되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혼자 대처할 수 있을지 두려워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보건복지부가 2019년 12월부터 ‘복막 투석 환자 재택 관리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집에서도 복막 투석을 잘 할 수 있게 의료진이 전문적인 교육·상담, 모니터링 서비스 등을 제공해 도와주는 것이다. 지금까지 대학병원 등 83개 의료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신장학회가 지난 4월 내놓은 재택 관리 시범사업의 효과 연구 보고서를 보면 복막 투석 도관의 감염과 환자 사망률, 혈액 투석 전환율, 의료비 감소 등 관련 임상지표의 개선이 확인됐다.

연구를 주도한 신장학회 이영기(한림의대) 전 투석 이사는 “보고서를 토대로 오는 12월 시범사업 3년 시점에 복지부가 본사업으로 전환할지, 시범사업을 연장할지 결정할 것”이라면서 “환자 만족도가 놓고 임상효과도 확인된 만큼 사업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중앙대병원의 경우 지난해 9월 시범사업에 참여해 지금까지 30여명의 만성 신부전 환자가 재택 복막 투석을 받고 있다. 만성 신부전 환자는 2017년 20만3978명에서 지난해 27만7252명으로 꾸준히 증가 추세다. 신대체요법이 필요한 환자들이 늘면서 복막 투석이 확실한 대안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글·사진=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