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월드

일자리 창출에 사활 건 바이든 “미국이 다시 움직이고 있다”

미국 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28일(현지시간) 취임 후 첫 상·하원 합동 연설을 하고 있는 조 바이든 미 대통령 뒤로 카멀라 해리스(왼쪽) 부통령과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앉아서 박수를 치고 있다. 부통령과 하원의장 자리가 배치되는 미 대통령 연단 뒤 두 자리를 모두 여성이 채운 것은 미국 역사상 최초의 일이다. 바이든 대통령도 “‘마담’ 하원의장 그리고 ‘마담’ 부통령. 이 연단에서 어떤 대통령도 이런 말을 한 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그럴 때가 됐습니다”라면서 역사적 순간을 기렸다. 로이터연합뉴스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워싱턴 의회 본회의장에서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과 팔꿈치 인사를 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후 첫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100일간의 구조와 재건이 끝나고 미국은 다시 날아오를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EPA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 100일을 하루 앞두고 열린 첫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위기에 처한 미국을 다시 일으켜 세우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은 ‘일자리(jobs)’를 43번 언급하며 연설의 대부분을 경제 재건 방안을 설명하는 데 할애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워싱턴 의사당에서 열린 연설에서 “취임 후 나는 한 세기 만의 최악의 팬데믹,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제 위기, 남북전쟁 이후 민주주의에 대한 최악의 공격 등 위기에 처한 국가를 물려받았다”며 “그러나 미국은 다시 움직이고 있다. 위험은 가능성으로, 위기는 기회로, 좌절은 강인함으로 바뀌고 있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역사를 돌이켜볼 때 공공투자와 인프라가 미국을 변화시켰다. 한 세대에 한 번 있는 투자”라며 4조 달러(약 4432조원) 규모의 초대형 물적·인적 투자 프로젝트 2개를 제시했다. ‘미국 일자리 계획’과 ‘미국 가족 계획’이다.

2조2500억 달러 규모의 일자리 계획은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통해 10년 동안 1900만명을 고용할 수 있는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구상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창출된 일자리의 90%는 대학 학위가 필요 없다”며 “미국을 건설하기 위한 블루칼라의 청사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월가는 이 나라를 건설하지 않았다”며 “중산층이 이 나라를 만들었고 노동조합이 중산층을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1조8000억 달러 규모의 인적 투자 방안인 미국 가족 계획의 세부 구상도 함께 밝혔다. 사회안전망을 확충하는 복지정책이자 미래 경쟁력을 위한 장기 투자 프로젝트로 공공교육 대상에 3~4세 유치원과 2년제 대학을 포함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그는 “12년의 공공교육은 21세기 경쟁에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연설을 두고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 이후 40여년 동안 미 정가를 지배해 온 ‘작은 정부’를 버리고 반대 방향으로 전환했다”며 “큰 정부가 돌아왔다”고 분석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한국계 여성을 포함해 8명의 사망자가 나온 애틀랜타 마사지숍 총기난사 사건 등을 언급하면서 미국의 뿌리 깊은 사회문제인 인종차별과 증오범죄, 총기문제 등에 대해 ‘조지 플로이드법’ 법안 통과 등 의회가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당부했다.

대통령 취임 100일에 대한 민주당과 공화당 수장의 평가는 엇갈렸다. 척 슈머 민주당 원내대표는 “바이든 대통령은 끊임없는 분열과 분노, 인종적 적대감을 부추기지 않는다”며 “단 한 번도 문화전쟁의 불길을 부추기지 않고 단 하나의 매체도 개인적으로 지배하려 하지 않고, 모욕하거나 끊임없이 거짓말하지도 않는다”고 평가했다.

반면 미치 매코널 공화당 원내대표는 “바이든 대통령은 통합이 아닌 자신들의 세력 기반을 닦기 위한 100일을 보냈다”며 “지난 1월 많은 미국인은 차기 대통령의 말을 그대로 믿길 바랐지만 미흡한 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미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코로나19 대응은 호평받았지만 이민 정책 등 사회 통합 분야에선 저조한 점수를 받았다. 워싱턴포스트·ABC 조사에서 코로나19 대응(64%), 코로나19 경기부양책(65%)은 ‘잘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국경 이민자 문제 대응은 37%에 불과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