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건강

[1500자 의학상식] 자궁경부무력증 조산 막으려면…



최근 들어 유산과 조산 발생률이 가파르게 상승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유산은 임신 20주 전에 태아가 자궁 밖으로 나오는 것, 조산은 임신 37주 이전에 예정일보다 일찍 아기를 낳는 경우를 말한다.

조산의 가장 큰 문제는 저체중아를 낳게 된다는 것이다. 의학적으로 신생아 체중이 2500g 이하일 때 저체중아라고 하는데, 이 경우 각종 합병증 발생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임신 24주 이전의 조산은 뇌성마비, 정신박약 등 뇌신경학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설혹 살아서 태어난다고 하더라도 부모의 근심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런 위험으로부터 벗어나려면 적어도 임신 24~26주가 지나서 아기가 태어나야 한다. 의학계가 조산아의 건강상태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임신주수를 26~28주, 출생체중을 750~1000g 이상으로 보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조산을 줄이기 위해서는 의사의 관심뿐 아니라 임신부 본인의 노력도 중요하다. 어느 질환에서나 마찬가지로 조산의 위험요인을 알아두고 이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신 중기 조산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자궁경부무력증이라는 질환이 있다. 임신 말기까지 딱딱하게 유지되어 태아를 보호해 주어야 할 자궁경부가 말 그대로 무력해져 힘없이 열리고, 그로 인해 태아가 속절없이 자궁 밖으로 밀려나오게 되는 병이다.

과거 인공중절 또는 자연유산을 몇 차례 경험하면서 자궁경부가 손상된 경우, 분만 시 난산으로 고생한 적이 있는 경우, 자궁경부 원추절제술 같은 수술을 한 적이 있는 경우, 쌍각자궁 등 자궁기형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시험관임신 시도 등 보조생식술 시술 후 증가하는 쌍둥이 임신도 자궁경부무력증 발생을 부추기는 위험인자 중 하나로 꼽힌다.

진단은 초음파검사로 한다. 최근 자궁경부가 굳어진 경도(硬度) 또는 탄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특수 초음파 장비가 선보여 자궁경부무력증 진단의 정확도가 더 높아졌다.

자궁경부무력증에 의한 조산을 막는 데는 약해진 자궁경부를 둥글게 묶어주는 ‘자궁경부 원형결찰술’이 제일이다. 이 수술은 임신 14~18주 사이에 주로 시행하고, 성공률이 85~90%에 이른다. 과거 한두 번 조산을 경험한 임신부들은 자궁경부무력증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전문의와 상담 후 수술여부를 결정하는 게 좋다. 자칫 수술시기를 놓쳐 자궁경부가 이미 벌어지고 양막이 자궁경부 쪽으로 밀려 내려온 다음에는 조산 위험을 피할 길이 없다.

물론 양막이 이미 질 내부까지 돌출된 응급상황에서도 더블맥(Double McDonald) 원형결찰술 등으로 치료는 가능하다. 더블맥 원형결찰술은 기존의 원형결찰술 영역 밖으로 한 번 더, 단단하게 자궁경부를 돌려 묶어주는 치료법이다. 양막이 질 내부로 많이 돌출된 경우, 보강수술이 필요한 경우, 또는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한 방법이다.

박문일 동탄제일병원 원장·전 한양대병원 산부인과 교수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