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출판

박완서 8주기… ‘生의 순간’을 들춰보다

소설가 박완서는 1970년대 콩트를 통해 고유한 문학적 스타일을 선보였다. 개정판 ‘나의 아름다운 이웃’은 그의 첫 짧은 소설 모음집이다. 신간 ‘멜랑콜리 해피엔딩’은 후배 작가들이 박완서의 문학정신을 기리며 쓴 작품집이다. 국민일보DB





“그녀는 쥐보다 비천한 삶을 살아가는 우리 도시의 인간들을 사랑했다”(김사과) “그는 어떤 시시한 일상적 소재로도 삶의 진수를 뽑은 이야기의 진수성찬을 차려낸다”(권지예) “그 자체로 한국 문단의 아주 중요한 꿈이다”(정지돈)…. 작가들에게 이런 찬사를 받고도 남을 소설가는 박완서(1931~2011·사진) 단 한 명뿐이다. 그는 우리 사회의 내면적 변화를 천연덕스럽게도 담아냈다.

8주기에 맞춰 박완서가 생전에 쓴 콩트 48편이 담긴 소설집 ‘나의 아름다운 이웃’ 개정판과 그의 문학을 기리기 위해 후배들이 쓴 짧은 소설 29편 모음집 ‘멜랑콜리 해피엔딩’이 나란히 나왔다. ‘나의 아름다운 이웃’은 박완서가 낸 최초의 짧은 소설집이다. 1970년대의 사회 단면을 예리하게 포착한 콩트들이다. 박완서는 이 소설집에 대해 “바늘구멍으로 내다보았음에도 불구하고 멀리, 적어도 이삼십 년 앞을 내다보았다고 으스대고 싶은 치기”라고 고백했다.

이 작품들에 나타난 재치와 날카로움이 치기라면 ‘멜랑콜리 해피엔딩’은 그 치기를 제각각의 방식으로 물려받은 작가들이 이야기 재주를 뽐내는 다양한 작품들이다. 그의 문학에 빚진 김숨 박민정 임현 정세랑 조남주 등 젊은 작가와 권지예 백민석 이장욱 최수철 함정임 등 중견 작가들이 참여한 콩트 오마주다. 소재와 주제는 다양하지만 인간다운 삶이 무엇인가 물었던 박완서의 문학 정신을 추구한다는 점은 공통점이다. 시대는 반세기 가까이 떨어져 있지만 울고 웃는 주인공들의 사정은 희한하게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두 작품을 비교해 보자. ‘나의 아름다운 이웃’에 수록된 박완서의 ‘삼박 사일간의 외출’에는 집에서 내쫓긴 전업주부 유나가 등장한다. 강압적이고 자기중심적인 남편은 유나가 친구들과 시간을 보내고 늦게 귀가한 날 대문을 걸어 잠근다. 화가 난 유나는 그 길로 부산 친정에 갔다가 마음이 어느 정도 풀려 집으로 돌아온다. 마침 아이들은 텔레비전을 보고 있고 남편은 부엌에서 반찬을 만든다. 유나는 “넌 뭘 하고 아빠가 부엌일까지 하시게 하니”라고 딸을 괜히 타박한다. 딸은 “부산 외숙모한테서 전화받으시자마자 아빠가 저한테서 앞치마 먼저 빼앗아 입으시고 저 야단이신 걸 어쩌란 말예요”라고 이른다. 견고한 가부장제 틀 안에서 남편이 아내의 역할을 잠시 대신하는 상황으로 갈등을 무마하는 모습이다.

‘멜랑콜리 해피엔딩’에서는 김성중의 ‘등신, 안심’이 부부 갈등을 다룬 작품이다. “신혼이 가시기도 전에 부부는 싸우기 시작했다. 사랑보다 증오가 자라는 속도가 빨랐고, 그들 사이에 태어난 아이가 자라는 속도는 더 빨랐다.” 그날도 대판 싸운다. 일을 하는 아내는 긴장감이 싫은 나머지 남편에게 먼저 전화해 사과한다. 아내는 “미안해”라고 하고, 남편은 “나도”라고 한다. 그게 끝이다.

휴전 성립 후 남편은 아내에게 돈가스를 사오라고 한다. 남편은 덧붙인다. “등심과 안심으로만.” 실수로 ‘등신, 안심’이라는 메모를 쓴 아내는 글자를 내려다 보다 웃음을 터트린다. “등신, 안심. 그와 나는 둘도 없는 상등신들이고 우리는 화해가 이루어져 안심하고 있구나. 이것은 등신들이 안심하는 이야기”이란 생각을 한 것이다.

싸울 에너지조차 아껴야 하는 맞벌이 부부가 전화로 간편하게 화해하고 허탈해하는 장면이다. 두 콩트 속 부부의 역할과 지위, 싸움과 화해의 방식은 무척 다르다. 하지만 우스꽝스럽게 싸우고 유치하게 화해하는 생활은 똑같다. 결혼을 선택했고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이다. 이렇게 박완서와 요즘 작가의 작품을 비교해서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박완서의 소설집에는 날카로운 시선이 번뜩이는 단편이 많다. ‘열쇠 소년’ 속 부부는 자녀의 ‘미래’ 과외비를 위해 맞벌이를 한다. 아파트 열쇠를 가진 아들은 스스로 문을 열고 귀가해 혼자 밥을 먹고 TV를 본다. 아버지는 ‘온종일 부모에 굶주린’ 아들의 맹렬한 수다에 걱정스러운 시선을 던지지만 뾰족한 수가 없다. 부모는 돈을 벌고, 교육은 학원이 하는 현 세태와 닮아 있다.

‘멜랑콜리 해피엔딩’ 수록작 백수린의 ‘언제나 해피 엔딩’은 청년들의 불안을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아무것도 이룬 것 없어 불안해하는 민주에게 박 선생은 “엔딩이 어떻든, 언제나 영화가 다시 시작한다는 것만 깨달으면 그다음에 다 괜찮아진다”고 한다. 이기호의 ‘다시 봄’은 가난한 아버지가 아들을 위해 비싼 장난감을 샀다가 환불하려 가는 애잔한 풍경을 그린다.

두 책을 읽다 보면 역시 소설가들이란 시대를 비추는 풍속 화가이자 이면을 파헤치는 탐정의 속성을 갖고 있다는 생각이 새삼 든다. 박완서와 그를 좋아하는 한국 대표 작가들이 쓴 작품이기 때문에 더 그럴 것이다. 평범한 삶 속에서 ‘생의 맛’을 보게 한다. 뭉근한 감동을 준다. 시대는 달라도 비슷한 고민을 하고, 비슷한 문제에 다른 결론을 내는 사회상을 보는 묘미도 크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