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출판

“지나친 호의·무례한 관심은 폭력”

신작 소설집 ‘단 하나의 문장’을 낸 구병모 작가는 “지금은 작가로서 살아가겠다는 소망 외에 다른 것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하지 않고 있다”면서 “양육은 언제나 어렵기 때문에 그때그때 벌어지는 눈앞의 상황에 전력을 다한다”고 말했다. 문학동네 제공




문단에서 ‘돌봄노동’을 본격적으로 다뤄온 구병모(42) 작가가 새 소설집 ‘단 하나의 문장’(문학동네)을 냈다. 역설적으로 이 돌봄 때문에 기자는 작가를 대면하기 어려웠다. 서울에 살던 작가는 3년 전부터 경남 진주에 살고 있다. 남편의 근무지를 따라 이주했다. 자녀 때문에 집을 비우기 쉽지 않아 전화로 대화를 나눠야 했다.

구 작가는 16일 국민일보와 인터뷰에서 “기차로 서울까지 왕복하는 데 7시간이 걸린다. 양육자 여성은 자리를 비우려면 그사이 돌봄 공백을 메우기 위해 온 집안 식구들의 스케줄을 재배열해야 한다. 그러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 늘 애로사항”이라며 말문을 열었다. 얼핏 보면 수록작 ‘한 아이에게 온 마을이’ 상황과 비슷했다.

주인공 ‘정주’는 만삭의 임산부다. 교사인 남편이 발령을 받으면서 갑자기 시골로 이사를 하게 된다. 지인들은 농촌 생활을 즐기라고 하지만, 현실은 그리 간단치 않다. 동네 할머니들은 불쑥불쑥 집을 찾아오고 새댁의 살림살이에 이러쿵저러쿵 말을 보탠다. 구 작가는 “내 상황을 소설로 쓴 것은 아니다. 누구나 처할 수 있는 설정”이라며 가볍게 웃었다.

소설 속 정주는 마을 사람들의 관심과 오해에 질리고 그곳을 떠나 아이를 키울 결심을 한다. 그는 “시골을 떠난 정주가 익명성을 확보하면 잠깐 숨통이 트일지는 모르겠지만, 결국엔 아이를 키우는 여성에 대한 사람들의 시선이 기본적으로 ‘적의’에 가득 차 있다는 현실에서 벗어나진 못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작가는 이 적의가 공격의 의미가 아니라 “호기심 어린 접근이나 필요 이상의 호의, 무례한 관심들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지난 6월 낸 장편 ‘네 이웃의 식탁’에서도 공동육아의 허위와 돌봄노동의 허무를 폭로했다. 여성과 양육자로서 겪는 어려움은 이번 소설집뿐만 아니라 ‘고의는 아니지만’(2011),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2015)에서도 꾸준히 써 온 주제다. 그는 “돌이켜보니 내가 일관된 작업을 해온 것 같다”고 했다.

그럼 어떻게 이런 문제의식을 갖게 됐을까. “여자들은 상을 차리고, 남자들은 차려준 음식을 먹기만 하고. 어디에서나 남녀가 평등하지 않은 모습을 많이 봤다. ‘왜 여성들만 이렇게 해야 하는가’ 그런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게 된 것 같다”고 했다.

소설집에는 환대의 문제와 시선의 폭력을 고민하는 양육자 얘기(‘지속되는 호의’)가 있다. 아이 키우는 엄마들의 절망은 해소될 수 없는 것일까. 작가는 이 물음에 “문학은 정답을 내려주거나 해결책을 내놓는 양식이 아니다. 그럼에도 눈앞의 뭔가가 암울하다면 일단 여성이 일방적으로 감내할 문제는 아닐 것”이라고 했다. 사회적인 과제라는 것이다.

작가가 소설에서처럼 가사나 돌봄 노동에 헌신하면서 갈등하고 있는 건 아니라고 했다. “우리 식구들은 나한테 엄마 손맛을 기대하지 않고, 애당초 그런 기대를 하는 게 옳지 않다는 걸 안다. 반찬거리는 완전히 ‘아웃소싱’한다”고 했다.

작가의 성격이 소설 화자들처럼 예민할 거라고 상상하기 쉽다. 그러나 그는 털털했다. “마른 빨래를 걷어서 대충 어디 쌓아두면 남편이나 아들이 잘 찾아 입는다. 어떤 사람은 그렇게 하면 못 견딘다고 하는데 난 별로 신경 안 쓴다”고 했다. 작품 세계와 작가의 성격이 다르다고 하자 “소설을 읽곤 (나에 대해) 접근하기 어려운 사람 같다고 하는데 실제로 보면 ‘귀엽다’고들 한다”며 웃었다.

그는 평소 아낀 에너지를 작품 활동에 쏟아붓는다고 했다. 앞으로의 작품 계획에 대해 “언제 어디서라도 문학을 한다는 마음이다. 이르면 내년 봄 영 어덜트(young adult) 장편이 나온다”고 했다. 2008년 ‘위저드 베이커리’로 창비청소년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등단한 그는 경계 없는 상상력으로 현실에 잠복된 모순을 예리하게 묘파하고 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