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청 원장의 무비톡] 타인과 공감을 잃은 주인공… 깊은 인상 남긴 사회적응 고군분투



할리우드 영화나 드라마에서 연쇄살인범이 주인공으로 분할 때가 있다. 영화 ‘양들의 침묵’의 한니발 렉터나 오늘 소개할 드라마 ‘덱스터’의 주인공이 대표적이다. 덱스터라는 인물은 흥미롭다. 덱스터는 어린 시절 어머니가 살해당한 현장에 홀로 남겨진 끔찍한 기억을 갖고 있다. 이때의 트라우마로 그는 살인 충동을 갖게 된다. 이를 눈치 챈 양아버지는 그가 살인의 욕구를 ‘승화’할 수 있도록 가르친다. 연쇄살인마를 추적해 처단하는, 그러니까 ‘연쇄살인마를 처리하는 연쇄살인마’가 되도록 말이다. 덱스터는 양아버지의 가르침을 충실히 따라 낮에는 경찰 혈흔분석가로, 밤에는 연쇄살인마를 찾아 사냥에 나서는 이중생활을 한다.

과연 살인자를 처단함으로써 정의를 구현하는 연쇄살인마가 존재할 수 있을까? 연쇄살인범(serial killer)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고 연쇄살인범 수사에 프로파일링 기법을 도입한 FBI 심리분석관 로버트 레슬러는 조직적 범죄와 비조직적 범죄 두 가지 유형으로 연쇄살인범들을 구분했다. 조직적 유형은 대상자 선정부터 범행 방법까지 주도면밀하게 계획하고 인내심도 있기 때문에 검거할 때까지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반면, 비조직적 유형은 심각한 정신질환이 동반된 경우가 많으며, 범행이 충동적이고 범행 방식도 절제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덱스터는 조직적 유형의 연쇄살인마다. 범죄 대상을 연쇄살인범으로 국한시키는 행동이 얼핏 정의를 이루려는 숭고한 목적에 의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살인 충동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연쇄살인마에게 양심이나 타인에 대한 공감, 연민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정신의학적으로 볼 때, 이러한 조직적 유형의 연쇄살인범은 반사회성 인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소시오패스(sociopath)나 싸이코패스(psychopath)라는 용어와 혼동돼 사용되기도 한다. 여하간 이들은 공감 능력이나 죄책감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타인을 이용 가능한 대상으로 여긴다.

한편 연쇄살인마는 쾌락을 위해 반복해서 살인을 하는 반사회성 인격장애 환자로도 볼 수 있다. 죄책감이 없고 자신이 다른 사람들을 기만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살인을 멈추지 않는다. 드라마 속에서 타인과 정서적 공감을 하지 못하는 덱스터가 사회에 적응코자 감정을 느끼는 척 연기하는 모습은 흥미롭다. 여동생과 여자친구에게도 별다른 애착을 느끼지 못하지만, 자신이 연쇄살인마란 것을 들키지 않기 위해 끊임없이 정상적인 모습을 보이려 노력한다. 덱스터는 그를 정상인으로 위장하기 위해 가짜 연애를 시작했다가, 우여곡절 끝에 결혼을 하고 가정도 꾸리게 된다. 직장일은 바쁘고 결혼 생활과 육아에 지쳐가는 덱스터의 모습에 현대 남성들의 모습을 투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가정과 개인의 자유가 공존하기 힘들다는 것을 덱스터를 통해 보게 되는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타인과 공감하지 못하는 덱스터이지만, 그가 본능을 숨기고 사회에 적응하려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고 고개를 끄덕이는 남성들도 적지 않을 것 같다.

<서울청정신건강의학과>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