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종합

임종석·조국의 판단미스일까, 송영무의 부실보고일까

송영무 국방부 장관(오른쪽 두 번째)이 16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국군기무사령부 계엄령 검토 문건 관련 부대 지휘관 긴급회의를 소집해 정경두 합참의장과 악수하고 있다. 김용우 육군참모총장(오른쪽)과 이석구 기무사령관, 김정수 수도방위사령관, 남영신 특수전사령관 등 문건에 언급된 20개 부대 지휘관이 회의에 참석했다. 윤성호 기자




국군기무사령부가 작성한 촛불집회 계엄령 문건과 관련해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조국 민정수석과 송영무 국방부 장관의 지난 4월 30일 회동을 둘러싼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국방부는 송 장관이 회동에서 임 실장과 조 수석 등에게 문건의 존재를 알렸다고 밝혔지만 청와대는 ‘국방부의 설명이 미흡했다’고 일축했다. 임 실장과 조 수석의 판단 미스인지, 송 장관의 고의적인 보고 누락인지에 대한 사실관계 규명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16일 국방부에 따르면 송 장관은 4월 30일에 임 실장, 조 수석 등 청와대 참모진을 만나 기무사 개혁방안을 논의했다. 송 장관은 이 자리에서 계엄령 문건의 존재를 처음으로 언급했다. 송 장관 측은 “15페이지 분량의 기무사 개혁방안을 담은 보고서를 두고 회의를 했다”며 “보고서에는 계엄령 문건과 관련한 제목이 명시돼 있었다”고 말했다. 송 장관은 임 실장과 조 수석을 만나기 전 기무사 개혁 보고서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에게 따로 전달했다고 한다.

청와대는 송 장관의 설명이 미흡했다고 보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회의 당시 송 장관은 문건 자체보다는 기무사의 정치 개입 사례 중 하나로 설명했다”며 “계엄령 문건을 배포하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토론 주제도 기무사 개혁 문제여서 계엄령 문건에 주의를 기울일 정도는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조 수석은 이날 국민일보에 보낸 문자메시지에서 “문건 제출은 물론 문건에 대한 보고가 없었음을 국방부도 인정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문건 제목을 언급하는 수준에 그쳤던 송 장관의 보고는 정식 보고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평소 꼼꼼한 성격으로 알려진 임 실장과 조 수석이 헌정 문란 논란 가능성이 충분한 계엄령 문건 제목을 단순히 지나친 것을 두고도 의아하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혼선이 이어지면서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언급한 ‘회색지대’에 대한 명확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 대변인은 지난 11일 송 장관의 기무사 문건 보고 시점에 대해 “칼로 두부 자르듯이 딱 잘라서 말할 수 없다. 사실관계에서 회색지대 같은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특별수사단 차원에서 국방부와 청와대 간 보고 정황에 대한 수사를 벌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날 양측은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첫 문건 보고 시점을 두고서도 혼선을 빚었다. 국방부는 7월 초, 청와대는 6월 28일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뒤늦게 청와대와 같은 6월 28일로 시점을 정정했다. 국방부는 당초 “6월 28일 국방부 정책실장이 청와대 안보실 등 관련 부서에 계엄 검토 관련 문건을 보고했다. 문건을 제출한 건 아니다”고 했다가 “이날 청와대에 문건을 전달한 게 맞다”고 주장했다. 앞서 김 대변인은 지난 13일 “민정수석실은 최근 언론보도(지난 5일) 전까지 계엄령 문건을 보고 받은 적 없다”고 밝혔으나 민정수석실은 지난달 28일 문건을 보고·제출 받았다고 정정했다.

군 안팎에서는 이번 사태가 사드(THAAD) 보고 누락 사건처럼 비화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국방부는 정부 출범 직후 사드 발사대 잔여 4기를 국내에 들여온 상황을 청와대에 제대로 보고하지 않았다. 당시 문 대통령이 발사대 배치에 대한 보고를 누락했다며 “국기문란”이라고 질타했고, 결국 위승호 국방부 정책실장이 직무배제를 당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